1기
이론과정 커리큘럼
주차 | 날짜 | 강의명 | 강의 내용 | 강사 |
제1주 | 9/1 | 오리엔테이션 |
공연예술 발성 개요 및 교육 목표(비전과 목표)
|
김형태 |
제2주 | 8 | 발성기관의 기초 |
구조적 메커니즘과 기능의 통합적 이해
|
김한수 |
제3주 | 15 | 소리의 본질 |
후두, 성대, 공명기관의 심화적 이해
|
김형태 |
제4주 | 22 | 공연발성을 위한 호흡 전략 | 공연상황에서 호흡기술의 효과적 적용 방안 | 엄은실 |
제5주 | 29 | 호흡의 실질적 훈련 | 다양한 호흡기법의 적용 (복식호흡, 아포조호흡 등) | 김철준 |
제6주 | 10/13 |
발성 안정화를 위한 자세 정렬과 신체 조화 |
자세와 발성의 연계성을 알렉산터 테크닉과 바디맵핑과 결합 | 유미란 |
제7주 | 20 |
예술적 음성 산출을 위한 과학적 접근 |
생리학적 발성 메커니즘과 성구 | 김형태 |
제8주 | 27 | 공명, 음향, 그리고 예술적 목소리의 색채조화 | 공명과 음색 / 싱어스포만트 형성 | 왕정인 |
제9주 | 11/3 | 목소리와 음색 | 공명강의 조절 / 모음 변성 | 황영진 |
제10주 | 10 | 발음의 해부학적 기능 | 발음 생성의 해부학적 기능과 메커니즘 | 김재옥 |
제11주 | 17 | 장르별 발성 심화과정 1 |
성악발성의 원리 및 적용
|
김정권 |
제12주 | 24 | 장르별 발성 심화과정 2 |
실용음악 발성 기법과 실전 응용
|
유미란 |
제13주 | 12/1 | 장르별 발성 심화과정 3 |
뮤지컬 발성 특성과 무대 적용
|
명현진 |
제14주 | 8 | 장르별 발성 심화과정 4 | 한국 전통음악 발성 기법 및 차이점 | 김민수 |
제15주 | 15 | 장르별 발성 심화과정 5 | 연극 발성의 기초와 목소리 연기 | 이경선 |
제16주 | 22 | 장르별 발성 심화과정 6 | 성우 발성과 애니메이션 목소리 발성 기법 | 엄상현 |
제17주 | 29 | 공연예술인의 음성관리와 예방 전략 | 목소리 피로방지와 장기적 발성 유지방안 | 김형태 |
제18주 | 2026/1/5 | 발성 장애 및 음성 장애 치료 접근법 | 기능적, 기질적, 신경학적 음성장애의 예방 및 해결 | 최성희 |
제19주 | 12 | 실질적 음성 평가방법과 사례기반 학습 1 |
청지각적,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평가
|
김재옥 |
제20주 | 19 | 실질적 음성 평가방법과 사례기반 학습 2 |
후두내시경 검사, 초고속성대촬영, 발성역학적다차원측정검사
|
김형태 |
제21주 | 26 | 발성 훈련과 음성치료 기법 1 | 전통적 발성 훈련과 최신 치료 기법 | 왕정인 |
제22주 | 2/2 | 발성 훈련과 음성치료 기법 2 | 전통적 발성 훈련과 최신 치료 기법 | 왕정인 |
제23주 | 9 | 창의적 발성의 개발과 응용 | 발성에 유용한 기법의 개발 및 적용 | 배신열 |
제24주 | 23 |
전문적 발성지식의 통합과사례기반 시험 준비 |
이론과정 인증시험 대비 총정리 | 출제위원장/출제위원 |
실기과정 커리큘럼
세부 전공 | 전공 선택 과목(12시간) | 공통과목(12시간) | 수업 운영 및 인증시험 지침 |
보컬 / 보컬코칭 |
장르별 실기(성악, 실용음악, 뮤지컬, 국악, 연기, 성우 등 각 8시간) / 코칭 교수법*(4시간) |
공통 발성 훈련(6시간)/ 음성 치료접근(4시간)/ 음성 평가 실습(2시간) |
*코칭 실습은 수강생이 직접 대상자를 섭외하여 실습함
|
SLP |
평가도구 사용법(4시간)/ 음성/발성치료 참관(8시간) |
주차 | 강의명 | 강의내용 | 강사 | 비고 |
제1주 | 장르별 실기 | 성악 실기 | ||
제2주 | 장르별 실기 | 성악 실기 | ||
제3주 | 장르별 실기 | 실용음악 실기 | ||
제4주 | 장르별 실기 | 실용음악 실기 | ||
제5주 | 장르별 실기 | 뮤지컬 실기 | ||
제6주 | 장르별 실기 | 뮤지컬 실기 | ||
제7주 | 코칭 실습 | 발성 코칭 실습 | ||
제8주 | 코칭 실습 | 발성 코칭 실습 | ||
제9주 | 음성 평가 | 청지각적 음성평가 방법 및 실습 | ||
제10주 | 음성 평가 | 음성평가도구 사용법 및 실습(CSL) | ||
제11주 | 음성 평가 | 음성평가도구 사용법 및 실습(MDVP) | ||
제12주 | 음성 평가 | 음성평가도구 사용법 및 실습(PAS) | ||
제13주 | 후두내시경 검사 | 후두내시경의 사용법 및 참관 |
6월 1-5일 미국 The Voice Foundation 학회 참석 (UEP는 2년 간격으로 진행되어 2027년에 참석) |
|
제14주 | 후두내시경 검사 |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사용법 및 참관 | ||
제15주 | 음성치료 | 음성치료 참관 및 교육 | ||
제16주 | 음성치료 | 음성치료 참관 및 교육 | ||
제17주 | 발성평가방법 실습 | 발성평가방법 실습(VRP) | ||
제18주 | 발성평가방법 실습 | 발성평가방법 실습(PKE) | ||
제19주 | 발성평가방법 실습 | 발성평가방법 실습(PKE) | ||
제20주 | 발성평가방법 실습 | 발성평가방법 실습(PKE) | ||
제21주 | 발성치료 접근 | 발성치료 접근 | ||
제22주 | 발성치료 접근 | 발성치료 접근 | ||
제23주 | 발성재활훈련 | 발성재활훈련 | ||
제24주 | 전문적 발성지식의 통합과 사례기반 | 실기과정 인증시험 대비 총정리 |